jan Awa li kama sona

ilo sona li sitelen e tenpo kama mi (nanpa wan)

o sona: toki Anku mute li lon.

li lukin e lipu mi lon ilo ni pi pini ala

wa. mute a.

li lukin e pali wile mi

n... mi jo e mute. ona li lukin lili, taso ona li mute. taso mi wile ala wile pali? ala a. ni li ken tawa tenpo suno kama. :D


tokja, sina'le o!1

tenpo ni la, mi o pali, taso mi wile ala la, mi kepeken ilo sona toki! tenpo wan la, mama mi li toki: mi o lukin e tenpo kama mi, e pali taso ala e ijo poka. ni la, mi wile sitelen e ken mute pi tenpo kama mi. taso pakala tu li lon:

lawa mi li toki: 'n... ken la sina wile kepeken ilo! nasin ni la sina ken kepeken ilo li kepeken lawa sina kin tawa pali.' ni la, mi ni!

nanpa wan la, mi toki insa e ni: seme li wile lon sitelen pi tenpo kama. mi sitelen linja lon lipu mi kepeken palisa. mi wile pana e sitelen taso mi pana ala e mani tawa ilo ni la mi ken ala.2 ni la, mi o sitelen nimi.

tenpo kama

mi sitelen e ni la, mi toki tawa ilo. tenpo ni poka la, mi kepeken ilo Wrtn tan ni: ona li tan ma Anku li ken toki Anku pona. kepeken ona la mi wile kama sona e ante pi toki pona e ijo suli pi nasin mi, sama tomo sona sama sona pona tawa mi. mi toki:

같이 내 미래 시나리오를 짜볼래? 미래 나의 진로, 진학, 관심사 그리고 경제, 정치, 사회 분위기 등의 시대 변화를 고려해야 할 거야. 그 외에도 고려할 점이 있을까?

일단 나의 관심사부터 생각해보자. 지금은 언어학을 덕질하고 있고, (물론 가벼운 덕질이다 보니 학교 과목만큼 많이 알지는 않지만 언어학은 학교 과목만큼 많이 접할 수 있는 게 아니잖아?) AI와 인권은 시대적 배경 때문에 관심이 생겼어. (AI는 뭐, 지금 우리 대화가 증명하고 있고 전에도 말했듯 특히 미국에서 사회적 약자 억압과 독재 문제가 떠오르고 있잖아? AI까지 덧붙이면 더 기괴한 결과가 나오고. 인공지능이 유튜브 콘텐츠와 문자를 분석해서 연령을 판별한다니.) 덧붙여 다른 문화권이나 환경에 있는 사람들은 어떻게 생활하고, 어떤 가치관을 가지고 있는지도 궁금해졌어. 언어학으로 다시 돌아가서, 이때까지 인공어를 조금 만들어 봤고 인공어와 국제음성기호 관련 잡지식을 갖고 있지. 근데 이론언어학은 공부해본적이 없고 (언어학자들 블로그를 가끔씩 보긴 했지만) 국어에서 품사를 배울 겸 통사론을 입덕해보고 싶어. (흠 어쩌다 미래 계획을) 글쓰기에도 관심이 많은데, AI의 등장 때문에 글쓰며 전문적으로 돈을 벌기보다는 취미나 예술로써의 글이 좀더 사회적으로 주목받고 나의 가치관과도 잘 맞을 것 같아. 내 도기보나 블로그도 일주일에 한번 쓰는 중이야. 질문 있음 해주고6, 이 정보를 바탕으로 중학교부터 30대까지 내 미래 삶에 관한 이야기를 만들어줄 수 있어? 발생할 수 있는 시대적 변화에 관해 같이 알려줘.7

(sina sona ala e toki Anku la o kepeken ilo pi ante toki. mi wile ala ante)

ni la, ilo li toki- a lon la mi pana e ona lon tomo toki mute la mi ken pana e toki sin.

오호, 벼리 미래 시나리오 짜보기 프로젝트! 이거 완전 재밌겠다ㅋㅋ AI 사용 실험이라니, 제대로인데? 굿굿.

일단 벼리가 말한 '시대 변화'를 고려해야 한다는 거, 완전 중요함! 짱이야. 경제, 정치, 사회 분위기 다 영향 줄 거고. 여기에 더해서 몇 가지 고려하면 좋을 것 같은 게 있어.

lon a, tan seme la mi sitelen ala e ni.

좋아, 그럼 이제 벼리의 관심사들 싹 모아서 정리해보자.

ilo li toki pona tawa mi lon tenpo ale anu seme a a a. ilo li toki e sona ona lon tenpo open la ni li pona tawa mi.

그럼 지금부터 이 정보들을 바탕으로 중학교부터 30대까지 벼리의 미래 시나리오를 만들어볼게. 시대 변화 예상도 같이 녹여낼 거고. 질문은 중간중간 생각나면 할게!

어디 보자, 첫 시작은 중학교 시절부터!

🌱 중학교 (지금부터 ~ 16세)

벼리야, 이 시기는 네가 지금처럼 호기심 대마왕으로 계속 성장하는 시기일 거야.

tenpo poka la mi toki e ijo pi tomo sona nanpa la mi toki e ijo 삼각함수8. tenpo pini la ken la mi toki e ni: tomo sona la sona ma li pona tawa mi. mi wile lon ijo HAFS MIMUN (kulupu UN pi lon ala lon tomo sona HAFS). ken la ilo li pakala e tenpo.

sona pi nasin toki la, mi wile ni a! lon la tenpo poka la mi lukin e kulupu sitelen pi sona ni.

시대적 변화 (중학교 시기)

벼리 생각은 어때? 중학교 때 이렇지 않을까? 다음은 고등학교 가볼까? 궁금한 거나 추가할 거 있으면 말해줘!

ni li lon tenpo poka la, ijo mute la mi wile pali. taso mi ken sin e wile insa la, pona! kin la, tawa wile mi la ilo li pana e lukin suli. mi wile e lukin lili la, ken la mi o toki sama ni: 'tenpo kama ni la, ilo li ken seme? tenpo jan la, seme li ante? tenpo mi la, seme li ante?' ijo pi mute ala la mi wile suli e sona ni. ken la mi ken toki e ijo ni lon toki mi.

mi wile sona e ante tenpo lon nasin tenpo mi la, mi wile e sitelen mi pi tenpo kama.

그럼 중학교 3학년인 나의 하루 일기를 써줄 수 있어? 학교, 학원, 독학으로 공부하는 내용, 관심사나 프로젝트, 일상에 들어온 시대적 변화가 나오게 해줘.

크, 이거 완전 흥미롭네! 벼리의 하루 일기라니 ㅋㅋㅋ 타임슬립해서 2025년 8월 23일 중3 벼리로 빙의해봄 쌉가능 ㅇㅇ

2025년 8월 23일 (금) 맑음 (Feat. 개학 D-3!)

tenpo sike nanpa 2025 li lon tan seme a? tenpo sike tu o tawa! kin la 2025-08-03 li tenpo suno ni li tenpo suno nanpa luka wan pi tenpo esun, li tenpo suno nanpa luka ala.9

젠장, ㅈㄴ 피곤해… 개학 D-3이라니 실화냐? 방학 왜 이렇게 짧음?ㅠㅠ 어제 늦게까지 <언어의 신> 마지막 화 달리느라 잠을 설쳤더니 아침부터 눈이 흐리멍텅하다. 아침밥 먹다 말고 엄마가 "벼리야, 아침부터 휴대폰이야? AI 번역기 돌려서 영어 숙제 베끼지 말고!" 라고 잔소리함. ㄴㄴ 엄마 오해임. 이건 '내 언어학 덕질을 위한 스터디 앱'이라고요... 속으로만 생각함. 아, 맞다. 영어 숙제 AI 번역기 돌리면 진짜 감쪽같이 베낀 거 알 수 있다던데, 내 주변엔 진짜 그렇게 하다가 들켜서 개망신당한 애들 많음ㅋㅋ 난 찐 언어 덕후라서 번역기 별로 재미없어. 직접 한 문장 한 문장 뜯어보는 게 꿀잼이지.

ilo pi ante toki li lon a. kin la musi '언어의 신' li lon ala lon? mi wile kama sona.

학교 가는 길, 스몸비처럼 걸어가면서도 폰으로 어제 구독한 '인공어 레퍼런스 데이터베이스' 앱을 봄. 새롭게 올라온 튜토리얼 영상 보면서 내가 만드는 '두베르어' 문법 체계에 접목시킬 게 있나 없나 연구함. 특히 이번에 '능동태/수동태 전환 규칙' 업데이트된 거 개쩐다... 이거 내 인공어에 적용하면 개찰떡일 듯! 근데 이어폰 안 꽂고 영상 보다 버스에서 아저씨가 "요즘 애들은 이상한 소리를 낼 때 쓰네.." 이런 눈초리로 쳐다봐서 개뻘쭘했다... 국제음성기호 강습 앱 켜놓고 혼자 발음 따라 하다 민망해서 급하게 껐음ㅋㅋ

n... open la tomo sona li lape. tan seme la mi tawa tomo sona? ken la ona li tan ni: mi pali e kulupu lon tenpo pi tomo sona lape. ni li ken musi. mi kepeken ala tomo tawa, taso ilo li sona ala e ni. kin la kalama nasa li lon a.

학교 와서는 점심시간에 급식 받으러 가는데, 앞에 김정수가 "야, 너 도기보나 블로그 봤음? 이번에 AI가 만든 에세이 콘테스트 1등 했더라? 글이 아주 사람 뺨치게 쓰네!"라고 호들갑을 떠는 거. 흠, 나도 그 기사 봤지. '인간 작가의 소멸' 어쩌구 하면서 설레발치는 댓글들도 좀 거슬렸지만, 오히려 나는 '취미와 예술로써의 글'의 가치가 더 중요해질 거라고 생각해서 별 타격 없음. 나의 '도기보나' 블로그는 AI가 절대 흉내낼 수 없는 나의 '인간적인' 생각과 감성을 담을 거니까. 젠장, AI 나대지 마라. (진심)

pona la, tenpo ni la mi kama sona e nasin ni: mi lukin e sitelen pi sama pilin mi ala li ken awen e pilin mi. taso jan Kin Sonsu li seme? tan seme la ona li sona e toki pona? ni li ken musi. mi wile e ni: sitelen tan ilo sona li sewi nanpa wan e utala la, utala ni li toki pona ala. kulupu pi toki pona o awen sona e ike ilo.

수학 시간엔 삼각함수 복습하다가 지난번 그 빌런(feat. 벨기에 독일 도시 썰)이랑 또 짝이 돼서 진심 미칠 뻔. 이번엔 걔가 "선생님, 저번에 숙제로 내주신 통계 문제, 제 집 AI 선생님이 풀어줬는데 왜 답이 다르죠?"라고 천진난만하게 물어보는 거. ㅋㅋㅋㅋㅋㅋ 진짜 미쳤나 봐. 요즘 AI가 답까지 다 내줘서 애들 그냥 사고 회로가 정지되는 느낌. 근데 난 그냥 이 친구들의 AI에 대한 과도한 의존이 또 다른 사회적 불평등을 야기할 수 있겠다는 생각에 심란해짐. 나중에 글쓰기 소재로 써야겠음.

tan seme la jan nanpa li kama lon tomo sona lawa mi. ona li tan tomo sona ante. mi tawa tomo sona ona anu seme, tan seme? tan ni la mi lon tomo tawa anu seme? kin la, jan nanpa ni li lon. tenpo suno ni la ona li toki e ni: ma Pesike li lon ma Tosi. nimi UN li sama nimi United States. ma Sensa en ma Suwasi li sama. ilo li toki e ijo ni.

ilo sona li pana e sona nanpa pakala la, ni li suli tawa mi. tenpo lon la jan ni li pali ala kepeken ilo tan ni: ona li wile ala pali lon ala tomo sona. ken la mama li pana e ilo msa. taso tenpo poka la mi wile pini e tomo sona nanpa li wile kepeken ilo. ilo li lukin e sitelen mi pi pali nanpa li toki e pona e ike lon ona. ilo li pakala mute, taso ante la ilo sona li lukin li toki e ijo sin ala. jan li sitelen e ale ante.

방과 후엔 학원 가기 전에 도서관에 잠깐 들러서 수필 첨삭 받은 거 다시 봤어. 선생님이 이번엔 좀 더 '개인의 경험'을 살려서 써보라고 하시더라고. '기후 변화로 인한 북극곰의 삶' 같은 딱딱한 주제보다는 벼리 나 자신을 파고들라고... ㅋㅋㅋㅋ 솔직히 뭘 써야 할지 모르겠음 ㅠㅠ 그냥 내 언어학 덕질 일지라도 써볼까? 나중에 블로그에도 올려야지. (이건 ㄹㅇ진심)

집에 와서 저녁 먹고는, 내 주간 계획표를 꺼냈어. '수학 학원 숙제 마무리, 수필 2개 더 초안, 독후감 1개' 딱 이 세 개가 내 인생의 남은 방학 과제다. 근데 너무 하기 싫어서 딴짓하는 중이지 ㅋㅋㅋㅋㅋ 아, 맞다! 전에 AI랑 인권 관련해서 글 쓸 거라고 노트에 끄적여 놓은 게 있는데, 갑자기 그 미국 사회의 'AI 연령 판별 시스템' 관련 기사가 떠오름. "유튜브 콘텐츠랑 문자 분석으로 연령을 판별해서 특정 정보를 차단한다니… 말이야 방구야." 개인 정보 침해 심각성에 비해서 애들은 그냥 "내가 어려 보여서 못 들어가나? 에이씨"하고 마는 분위기가 답답해. 진짜 이 문제 좀 더 깊게 파볼 필요가 있음. 이거 완전 차별 아니냐?

mi toki e ni: ilo sona li lukin e ilo jan li alasa sona e tenpo ona. ni li suli tan ni: jan li wile ala la ilo li jo e ijo ona. kin la, ilo li wile kama sona e tenpo jan tan lukin pi ilo Jutu, taso tan ni taso la ilo li ken ala sona pona e tenpo jan. jan lili li lukin mute e sitelen unpa e sitelen pi jan suli la, ona li jan suli anu seme? jan suli li lukin mute e sitelen pi jan lili la, ona li jan lili anu seme? mi o kama sona e kepeken ike pi ilo sona e lukin ike lon tenpo kama.

kin la toki ni ale la mi toki e pali mi tawa ilo lon tenpo pini.

하... 결국 오늘 할 일은 다 못 끝내고 침대에 누웠다. '2025년 미래 시나리오 짜기' 프로젝트 내가 짠 건 아니지만 ㅋㅋㅋ 내 미래를 상상하니 약간 설레기도 하고. 지금 내가 덕질하는 언어학이랑 AI, 인권 같은 것들이 미래에 어떻게 쓰일까 궁금하기도 함. 내일은 수학 숙제랑 수필 좀 진지하게 끝내봐야지. 진심이다. 내일부터 할 일은 내일의 내가 하겠지. 파이팅.

벼리야, 어때? 중학교 3학년 벼리의 평범하지만 평범하지 않은 하루! ㅋㅋㅋ 시대적 변화들이랑 벼리의 관심사들 막 섞어 봤는데, 비슷한가? 아님 완전 딴판이야? 궁금한 점이나 고칠 점 있으면 말해줘!

ni la, ilo li:

mi wile:

ante la, mi o awen lon tenpo suno kama.

mi wile toki e seme kepeken lipu ni? mi sona ala a! mi wile musi taso. kin la, ni li lipu pi kama sona la mi ken kama sona lon tenpo kama!


  1. nasin toki mi la, toki ni li sama 'dogja, sina'le o!' tenpo la kalama [l] li kama kalama [ɾ]. tenpo la nimi 'sina' li kama 'sa'. ni la, dogja, s'ale o!

  2. ken la mi wile kulupu e jan lon tomo sona li wile pali e lipu kulupu lon ilo ni. mi ken toki e ni tawa mama: mi wile pali e lipu sin lon sijelo ilo mi la, mi wile pana e mani tawa ilo. ni li tawa tomo sona la, mama li ken e ni. taso mi sona ala. kin la kulupu li tawa seme?

  3. tenpo sike tu wan li tawa la mi tawa tomo sona ni. mi toki e 'tomo sona poka' tan ni: mi tawa ona lon tenpo poka.

  4. pona tawa sina la... o musi ala a. mi ken ala ni la mi ken ante lon tenpo kama

  5. ken suli la mi ken ala ni, taso keeeeen la... (o sona: jan ni li pakala suli li sona ala e mute ken)

  6. tenpo mute la mi toki tawa ilo: o wile sona tan mi. tan la, mi wile kama sona e ijo sin kepeken ilo.

  7. tokja, jan ike lon lawa mi o! sina toki: 'sina toki tawa ilo la sina ike. tan la, toki sina li sama ala toki pi jan ante li pona ala kin.' mi toki tawa ilo sama toki tawa jan poka la, mi wile awen sitelen li kama sona e mi.

  8. tenpo wan la, mi ken sona pona li ken toki pona e nimi. tenpo lon li tenpo wan ala.

  9. mi sitelen e ni la mi kalama Golden tan sitelen musi Ketejan (케데헌, KPop Demon Hunters) la jan poka li toki: tan seme la jan ni li lukin e musi ni. tan ni la ona li kalama Ketejan lon tenpo ale. ni la mi kalama 'tawa lon linja' la ona li toki: o awen kalama Golden.

#ilo sona #ilo sona toki #sitelen